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 중반 창단되어 1986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데뷔했으며, 1999년까지 세 번의 아시안컵에 참가했으나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고, 이후 SAFF 여자 챔피언십에서 여러 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4년 WAFF 여자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으며,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 네팔 U-17 축구 국가대표팀
네팔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네팔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며 FIFA의 재정 지원으로 유소년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AFC U-16 챔피언십과 SAFF U-16 챔피언십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17세 이하의 네팔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5년 창설되어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아시아 강호로 자리매김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후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보였고, 현재 국제 대회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 혁명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재창단되어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세 차례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진출, 히잡 착용 문제와 훈련 및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발전 과정에 있으며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고르칼리스 첼리스 |
협회 | 네팔 축구 협회 |
하위 연맹 | SAFF (남아시아) |
대륙 연맹 | AFC (아시아) |
감독 | 라젠드라 타망 |
주장 | 안질라 툼바포 수바 |
최다 출장 선수 | 사비트라 반다리 (46) |
최다 득점 선수 | 사비트라 반다리 (53) |
홈 경기장 | 여러 곳 |
FIFA 코드 | NEP |
FIFA 최고 랭킹 | 91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7년 12월 |
FIFA 최저 랭킹 | 119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5년 9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상의 색상 | 빨강 |
홈 유니폼 하의 색상 | 빨강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빨강 |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 | 파랑 |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 | 파랑 |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 | 파랑 |
첫 경기 및 최고, 최저 승패 | |
첫 국제 경기 | 네팔 0–1 홍콩 (홍콩; 1986년 12월 14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네팔 13–0 아프가니스탄 (콕스바자르, 방글라데시; 2010년 12월 14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일본 14–0 네팔 (홍콩; 1989년 12월 24일) 일본 14–0 네팔 (바로탁 누에보, 필리핀; 1999년 11월 12일)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여자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3회 |
첫 출전 | 1986년 |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1986년, 1989년, 1999년) |
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여자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6회 |
첫 출전 | 2010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2010년, 2012년, 2014년, 2019년, 2022년, 2024년) |
남아시아 경기 대회 | |
최고 성적 | 은메달 (2010년, 2016년, 2019년) |
메달 | |
SAFF 여자 챔피언십 | 2010년 방글라데시: 준우승 2012년 스리랑카: 준우승 2014년 파키스탄: 준우승 2019년 네팔: 준우승 2022년 네팔: 준우승 2024년 네팔: 준우승 |
남아시아 경기 대회 | 2010년 다카: 준우승 2016년 과하티 & 실롱: 준우승 2019년 카트만두 & 포카라: 준우승 |
2. 역사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 중반에 창단되어 1986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1] 첫 공식 경기인 1986년 12월 14일 홍콩전에서는 1-0으로 패했다.[1] 이후 1989년, 1999년 대회에도 참가했지만, 세 대회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1]
1990년 민주화 운동 이후 8년 동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운영되지 않았다. 1999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 복귀했지만, 일본, 태국, 우즈베키스탄, 필리핀과의 조별 리그에서 모두 패하며 탈락했다.[1] 이후 네팔은 망글라데비 리그(Mangladevi League)라는 여자 축구 토너먼트를 통해 선수들을 육성했지만, 이 대회는 1년 만에 중단되었다.[2]
오랜 공백기 끝에, 네팔은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비록 결승전에서 인도에게 1-3으로 패했지만, 은메달을 획득했다.[3] SAFF 여자 축구 챔피언십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하며, 여자 대표팀의 FIFA 랭킹은 22계단 상승했다.[4]
2. 1. 팀 창단
네팔은 1980년대 중반 여자 국가대표팀을 구성하여 1986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데뷔했다.[1] 1986년 12월 14일, 네팔은 첫 공식 경기에서 홍콩과 맞붙어 1-0으로 패했다.[1] 네팔 여자 대표팀은 1986년, 1989년, 1999년 아시안컵에 참가했지만, 조별 예선을 넘어서지는 못했다.[1] 네팔은 태국, 인도네시아, 홍콩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1] 1989년 대회에서는 태국 대신 일본이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1] 네팔은 세 대회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1]
네팔 FIFA 부회장은 카말 타파였다.[1] 네팔 여자 축구팀 창단 당시, 첫 여성 주장은 라마 싱이었고, 카말 타파는 전 네팔 축구 협회 회장이었다.[1] 바그마티 팀을 대표했던 싱은 1985년부터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 두 번째 국가대표팀 주장은 간다키 팀을 대표했던 가말라 히라찬이었고, 세 번째 여자 주장은 나라야니 팀을 대표했던 미라 차우다리였다.[1] 싱은 나중에 네팔 텔레비전 역사상 첫 여성 뉴스 앵커가 되었고, 차우다리는 네팔 경찰에서 경찰서장(DSP) 계급을 지냈다.[1]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의 국제 경기 득점자는 페마 돌마 라마로, 필리핀에서 열린 1999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1]
2. 2. 공백기와 복귀
1986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6년, 1989년, 1999년 아시안컵에 출전했지만, 조별 예선을 넘어서지 못했다. 1990년 민주화 운동 이후 8년 동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운영되지 않았다. 1999년 여자 아시안컵에서 국제 축구 무대에 복귀했지만, 일본, 태국, 우즈베키스탄, 필리핀과의 조별 리그에서 모두 패하며 탈락했다.[1]1999년 이후, 네팔은 망글라데비 리그(Mangladevi League)라는 여자 축구 토너먼트를 통해 선수들을 육성했다. 이 대회는 2000년 초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년 만에 중단되었다.[2]
오랜 공백기 후, 네팔은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결승전에서 인도에게 1-3으로 졌지만, 은메달을 획득하며 네팔 축구 팬들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3]
2. 3. 부활과 성장
1990년 민주화 운동 이후 8년 동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없었지만, 1999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국제 무대에 복귀했다. 일본, 태국, 우즈베키스탄, 필리핀과의 조별 리그에서 모두 패하며 탈락했다. 이후 네팔은 여자 아시안컵에 출전하지 못했다.[1] 전 남자 국가대표팀 기술 감독 홀거 오버만(Holger Obermann)이 1999년 대회에서 기술 고문으로 활동했다.[1]1999년 이후 망글라데비 리그(Mangladevi League)라는 여자 축구 토너먼트가 시작되었지만, 1년 만에 중단되었다.[2]
네팔은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며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결승전에서는 인도에게 1-3으로 패했지만, 이는 국가대표팀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3]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 개막전에서 네팔 여자 U-23 대표팀은 방글라데시를 1-0으로 이겼고, 스리랑카를 8-0으로 대파했다. 인도와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는 0-5로 패했지만, 준결승에서 파키스탄을 7-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인도에 1-3으로 졌지만,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전국 리그가 재개되면서 네팔 여자 축구의 부흥이 시작되었다. 2010년 네팔 여자 축구 선수들은 제11회 남아시아 게임과 SAFF 여자 축구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남아시아 게임에서 스리랑카를 8-0, SAFF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을 13-0, 파키스탄을 11-0으로 대파했다. 스트라이커 아누 라마(Anu Lama)는 SAFF에서 해트트릭을 세 번 기록하며 대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0년 팀의 부흥 이후, 여자 대표팀의 FIFA 랭킹은 22계단 상승했다.[4]
3. 국제 대회 경력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AFC 여자 아시안컵에는 3회(1986년, 1989년, 1999년) 참가했으나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여자 챔피언십에서는 5번 준우승(2010년, 2012년, 2014년, 2019년, 2022년)과 4강 1회(2016년)를 기록했고,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3번 모두 은메달(2010년, 2016년, 2019년)을 획득했다. 2024년에는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여자 챔피언십에 초청팀으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다음은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제 대회 상대 전적을 정리한 표이다. (2022년 9월 19일 기준, FIFA A매치 기준)
국가 | 첫 경기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أ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ar | 2010 | 2 | 2 | 0 | 0 | 20 | 1 | +19 |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 | 2010 | 12 | 6 | 5 | 1 | 17 | 7 | +10 |
འབྲུག་ཡུལ།|부탄dz | 2014 | 5 | 4 | 1 | 0 | 23 | 0 | +23 |
香港|홍콩중국어 | 1986 | 3 | 0 | 1 | 2 | 0 | 4 | -4 |
भारत|인도hi | 2010 | 17 | 2 | 4 | 11 | 11 | 38 | -27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1986 | 3 | 1 | 0 | 2 | 2 | 15 | -13 |
ایران|이란fa | 2019 | 1 | 1 | 0 | 0 | 3 | 0 | +3 |
العراق|이라크ar | 2024 | 1 | 1 | 0 | 0 | 5 | 0 | +5 |
日本|일본일본어 | 1989 | 3 | 0 | 0 | 3 | 0 | 36 | -36 |
الأردن|요르단ar | 2024 | 1 | 0 | 1 | 0 | 2 | 2 | 0 |
الكويت|쿠웨이트ar | 2013 | 1 | 1 | 0 | 0 | 8 | 0 | +8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2019 | 1 | 1 | 0 | 0 | 8 | 2 | +6 |
لبنان|레바논ar | 2024 | 1 | 1 | 0 | 0 | 2 | 1 | +1 |
Malaysia|말레이시아ms | 2016 | 3 | 1 | 1 | 1 | 3 | 5 | -2 |
ދިވެހިރާއްޖެ|몰디브디베히어 | 2010 | 6 | 6 | 0 | 0 | 36 | 0 | +36 |
မြန်မာ|미얀마my | 2018 | 4 | 0 | 1 | 3 | 3 | 10 | -7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2010 | 4 | 4 | 0 | 0 | 29 | 0 | +29 |
فلسطين|팔레스타인ar | 2024 | 1 | 1 | 0 | 0 | 4 | 0 | +4 |
Pilipinas|필리핀tl | 1999 | 2 | 0 | 0 | 2 | 1 | 7 | -6 |
قطر|카타르ar | 2013 | 2 | 2 | 0 | 0 | 9 | 0 | +9 |
ශ්රී ලංකාව|스리랑카si | 2010 | 8 | 8 | 0 | 0 | 30 | 0 | +30 |
سوريا|시리아ar | 2024 | 1 | 1 | 0 | 0 | 4 | 1 | +3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2019 | 1 | 1 | 0 | 0 | 1 | 0 | +1 |
ไทย|태국th | 1986 | 2 | 0 | 0 | 2 | 0 | 10 | -10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1999 | 3 | 0 | 0 | 3 | 3 | 11 | -8 |
Việt Nam|베트남vi | 2023 | 3 | 0 | 0 | 3 | 1 | 9 | -8 |
합계 | 1986 | 89 | 43 | 13 | 33 | 214 | 159 | +55 |
3. 1. FIFA 여자 월드컵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1991 | 참가하지 않음 | ||||||||
1995 | |||||||||
1999 | |||||||||
2003 | 기권 | ||||||||
2007 | 참가하지 않음 | ||||||||
2011 | |||||||||
2015 | |||||||||
2019 | |||||||||
2023 | 예선 탈락 | ||||||||
2027 | 미정 | ||||||||
총계 | 0/8 | 0 | 0 | 0 | 0 | 0 | 0 | 0 | 0 |
3. 2. 올림픽
3. 3. AFC 여자 아시안컵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 중반에 창단되어 1986년, 1989년, 1999년 대회에 출전했다. 그러나 세 번의 대회 모두 조별 리그에서 전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986년 대회에서 네팔은 홍콩, 태국, 인도네시아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세 경기 모두 패했다. 1989년 대회에서는 태국 대신 일본이 같은 조에 편성되었고, 네팔은 모든 경기에서 큰 점수 차로 패했다.
1990년 민주화 운동 이후 8년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없었지만, 1999년 여자 아시안컵에 복귀했다. 일본, 태국, 우즈베키스탄, 필리핀과의 조별 리그에서 전패하며 탈락했다. 그 이후로 네팔은 여자 아시안컵에 출전하지 못했다.[1]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의 국제 경기 득점자는 페마 돌마 라마로, 1999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
AFC 여자 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1975 | 참가하지 않음 | ||||||||
1977 | |||||||||
1980 | |||||||||
1981 | |||||||||
1983 | |||||||||
1986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12 | −12 | 0 |
1989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25 | −25 | 0 |
1991 | 참가하지 않음 | ||||||||
1993 | |||||||||
1995 | |||||||||
1997 | |||||||||
1999 | 조별 리그 | 4 | 0 | 0 | 4 | 1 | 30 | −29 | 0 |
2001 | 참가하지 않음 | ||||||||
2003 | |||||||||
2006 | |||||||||
2008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예선 탈락 | ||||||||
2026 | 미정 | ||||||||
총계 | 3/20 | 10 | 0 | 0 | 10 | 1 | 67 | -66 | 0 |
3. 4. 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여자 챔피언십
SAFF 여자 챔피언십에는 6번 모두 출전하여 4강에 머물렀던 2016년 대회를 제외한 나머지 5번의 대회에서 모두 준우승을 차지했다.[4] 2010년 네팔 여자 축구 선수들은 제11회 남아시아 게임과 SAFF 여자 축구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남아시아 게임에서 스리랑카를 8-0으로, SAFF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을 13-0, 파키스탄을 11-0으로 대파했다. 스트라이커 아누 라마(Anu Lama)는 SAFF에서 해트트릭을 세 번 기록하며 대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남아시아 게임 결승전에서는 인도에 0-5로 패했지만, SAFF 결승전에서 같은 팀에 0-1로 패한 경기보다 훨씬 접전이었다.SAFF 여자 챔피언십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2010 | 준우승 | 5 | 4 | 0 | 1 | 34 | 1 | +33 | 12 |
2012 | 준우승 | 5 | 4 | 0 | 1 | 24 | 4 | +20 | 12 |
2014 | 준우승 | 5 | 4 | 0 | 1 | 17 | 6 | +11 | 12 |
2016 | 준결승 | 4 | 3 | 0 | 1 | 19 | 3 | +16 | 9 |
2019 | 준우승 | 4 | 3 | 0 | 1 | 11 | 3 | +8 | 9 |
2022 | 준우승 | 4 | 3 | 0 | 1 | 12 | 1 | +11 | 9 |
2024 | |||||||||
총계 | 7/7 | 27 | 21 | 0 | 6 | 117 | 18 | +99 | 63 |
3. 5. 남아시아 경기 대회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를 시작으로 2019년 대회까지 3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7]남아시아 경기 대회 기록[7]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2010 | 5 | 3 | 0 | 2 | 17 | 9 | +8 | 9 | |
2016 | -- 은메달 | 5 | 3 | 1 | 1 | 9 | 4 | +5 | 10 |
2019 | -- 은메달 | 4 | 2 | 0 | 2 | 4 | 3 | +1 | 6 |
2024 | 미정 | ||||||||
합계 | 3/3 | 14 | 8 | 1 | 5 | 30 | 16 | +14 | 25 |
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네팔 여자 U-23 대표팀은 개최국 방글라데시를 상대로 1골 차 승리를 거두었고, 스리랑카와의 경기에서는 8골 차 완승을 거두었다.[3] 인도와의 경기에서는 0-5로 크게 패했지만, 준결승에서 파키스탄을 7-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3] 결승전에서는 인도에게 1-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3]
2010년 남아시아 게임과 SAFF 여자 축구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네팔 여자 축구 선수들은 제한적인 훈련, 자원, 관심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4]
3. 6.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여자 챔피언십
2024년 대회에서 괌과 함께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하여 5경기 4승 1무의 성적을 거두며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WAFF 여자 챔피언십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2024 | 준우승 | 5 | 4 | 1 | 0 | 17 | 4 | +13 |
총합 | 1/1 | 5 | 4 | 1 | 0 | 17 | 4 | +13 |
4. 경기장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은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카트만두 중심부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네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25,000명(좌석 5,000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사라트 랑가살라는 네팔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다. 네팔의 순국선열 중 한 명인 다사라트 찬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 2013년 네팔에서 열린 SAFF 챔피언십에 앞서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거쳐 좌석이 20,000석에서 25,000석으로 늘어나는 등 여러 개선이 이루어졌다.[5]
5. 기타
발표일 | 순위 | 변동 | AFC 내 순위 | 변동 |
---|---|---|---|---|
2003년 7월 16일 | 98위 | - | 17위 | - |
2003년 8월 29일 | 103위 | 17위 | ||
2003년 10월 24일 | 103위 | 17위 | ||
2003년 12월 15일 | (이후, 순위권 밖) | |||
: |
FIFA 여자 월드랭킹은 2003년부터 발표되었으며, 현재는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NFH – Archived News
https://www.angelfir[...]
2016-03-04
[2]
웹사이트
Off-side: In support of the Nepali women footballers
http://www.ekantipur[...]
2014-08-12
[3]
뉴스
Nepali football – Sportsworld
https://www.youtube.[...]
2016-01-04
[4]
웹사이트
FIFA Rankings Nepal Women's National Team
https://web.archive.[...]
2014-02-24
[5]
웹사이트
You are being redirected...
https://thehimalayan[...]
2024-09-02
[6]
Facebook
The final #TeamNepal squad for SAFF Women's Championship.
https://www.facebook[...]
[7]
웹사이트
South Asian Federation Games (Women's Tournament)
https://www.rsssf.or[...]
2016-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